언론보도

“경남도, 신아SB 폐조선소 육상·해양오염정화 적극 해결해야”

  • 관리자
  • 2024-06-28
  • Hit : 266

27일 신아SB 폐조선소 해양오염정화 관련 간담회 개최

폐조선소 공유수면·인근 수역 해양오염퇴적물 정화 필요

공유수면 원상회복…기관·관련부처 협력 문제해결 요구

 

신아SB 폐조선소 부지 토양오염정화와 및 해양오염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 자리가  27일 통영리스타트플랫폼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통영 신아SB 폐조선소 도시재생사업 추진 과정에서 육상과 해양오염정화가 병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지만, 이를 해결할 담당 부서가 없다는 것이 맹점으로 떠올랐다.

해당 해역은 경상남도 구역에 속해 있으나 경남도 내부에서도 해당 업무를 담당하는 주무부서를 찾기 어려워 서로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또 도시재생사업 시행사인 LH는 해당부지를 매입 후 토양오염정화만 추진하려는 입장이며, 원인자에게 해양오염정화를 청구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신아SB 폐조선소 부지 토양오염정화와 및 해양오염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간담회 자리가  27일 통영리스타트플랫폼 세미나실에서 열렸다.

이 자리에는 신아SB 폐조선소 도시재생사업 시행사인 LH 경남지역본부 통영 폐조선소 사업소 김태용 감독소장, 경상남도 해양항만과 손의정 해양공간파트장, 통영시 김정규 환경과장 이상용 도시재생과장, 통영시의회 김혜경·배윤주·정광호 의원, (사)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이사장, 허도명 한산신문 대표 등이 참석했다.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이사장은 “해당 조선소 부지는 과거 조선 및 해양활동이 이뤄졌던 곳으로, 폐조선소 부지 내 토양오염과 해양오염이 심각한 상태다. 당시 조선소였을 때와 지금 LH가 조선소 부지를 매입해 도시재생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사용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공유수면 원상회복이 반드시 진행돼야 한다. 소유주가 LH로 넘어왔으니 LH에서 원상복구를 해야 한다. 폐조선소 원인자를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조선소 공유수면 인근 수역 해양오염퇴적물을 정화하기 위해서는 관계 부처가 서로의 핑계만 될 것이 아니라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이사장은 폐조선소 도시개발과정 해외 사례를 예로 들며 “미국 메인주 포틀랜드의 포트랜드 조선소와 영국 사우샘프턴의 웨스트키 조선소는 토양정화와 해양정화를 함께 진행했다. 폐조선소 활용해 도시개발을 하는 사례가 통영이 처음인 것 같다. 육상과 해양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해 반드시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산신문 허도명 대표는 “토양오염정화와 관련해서 다른 지역의 경우 정화기준을 당초 3지역 기준에서 1지역 정화로 변경해서 토양오염정화를 깨끗하게 원상 복구한 사례가 있다. LH는 공기업으로서의 개념을 가져야 하는 기관임에도 공적인 개념이 희박한 것 같다. 결국 이 땅은 통영에 있는 땅이다. 도시재생사업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원상복구다. 최종적으로는 국토를 깨끗하게 관리해야 한다”고 의견을 더했다.

LH 경남지역본부 통영 폐조선소 사업소 김태용 감독소장은 “모든 구역을 1지역으로 상향하면 사업비가 200~300억원이 더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법의 테두리 안에서 1·2·3지역으로 정화해야 하지만 당시 환경단체나 통영 시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했고, 예산을 투입해 현재 모든 구역을 3지역에서 2지역으로 상향해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배윤주 시의원은 “LH가 조선소를 인수 후, 통영에서 새로운 사업을 진행하면서 문제의식을 느끼고, 정화작업을 진행해야 한다는 전제를 잃지 않아야 한다. 사업이 전개되는 과정과 결과까지 책무를 다해, 미래 세대에게 깨끗한 바다를 전해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조언했다.

90697_363655_4216.jpg

 

경상남도 해양항만과 손의정 해양공간파트장은 “어제 급히 간담회가 열린다는 소식을 듣고, 참석했다. 오늘 말씀해주신 의견을 새겨듣고, 부서에 보고드리도록 하겠다. 해양오염정화와 관련해 다른 기관과의 협의로 해결 방향을 찾겠다”고 말했다.

정광호 시의원은 “LH와 통영시, 경상남도에서는 토양오염정화와 해양오염정화와 관련해서 회피하려고 하지 말고, 논의를 통해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이 문제를 인식할 수 있도록 경남도의원, 나아가 국회의원과 함께 다음 간담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초여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