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우선지원대상 한산신문 공모사업 ‘한산신문 지역공동체활성화프로젝트’-③
도천동 도천위판장 옆 폐해수관 실태조사
길목이 좁고, 조류가 빠른 ‘갯벌형성 지역’
바닷속 방치 폐해수관, 잘피 서식지 파괴
제3차 ‘한산신문 2024 지역공동체활성화프로젝트’ 바닷속 폐해수인입관 실태 추적 현장취재가 지난 6~7일 통영시 도천‧미수동 횟집거리 일대에서 펼쳐졌다.
바닷속 수중촬영과 현장취재를 위해 한산신문 취재진과 (사)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이사장, 권유진 생태팀장이 현장에 모였다.
취재 첫날인 6일은 도천동 횟집거리 일대에서 진행, 수중취재는 도천위판장 옆에서 이뤄졌다. 오전 9시 스쿠버다이빙 장비와 수중카메라를 착용한 잠수사가 바닷속으로 입수, 해수관 추적에 나섰다. 취재진은 그동안 주변 일대를 탐색했고, 버려진 폐해수관이 버젓이 길거리에 방치돼 있음을 확인했다.
이날 수중촬영에 찍힌 결과물은 새로 설치된 해수관과 사용기간이 끝나고 버려진 폐해수관의 실태가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바닷속에 버려져 부식된 폐해수관 위로 새 해수관이 설치돼 있었고, 해수관 입구에 불순물이 달라붙지 못하게 덮어놓은 플라스틱 박스도 새로 설치된 것과 버려진 것이 공존했다. 또한 밧줄과 끈 등 어업활동으로 인해 버려진 쓰레기와 생활 쓰레기도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사)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권유진 생태팀장은 “이곳은 조류가 빠르고, 양쪽으로 갯벌이 형성돼 있어 매립되기 전에는 바지락과 개조개, 개불 등 해산물이 풍부했고, 잘피와 해조류들이 서식하던 지역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잘피 생태계가 거의 파괴됐다. 미수동 지역은 그나마 잘피와 바지락 등이 서식하고 있지만, 예전 같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어 “파괴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해수관들을 제거해야 한다. 폐기된 해수관은 계속해서 쌓여가고, 바닷속에 있는 양이 어마어마할 것으로 추정된다. 5년마다 해수관의 갱신이 필요하지만, 부착생물 등에 의해 물의 흐름이 줄어들면 필요에 따라 새로운 호수를 매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권 팀장은 “경남도에서는 관의 지름에 따라 점·사용료를 받고 있다. 도천동 지역은 영세한 횟집들이 많아 관이 크지 않다. 큰 비용은 아니지만 월마다 5년씩 사용료를 받는다고 해도 그 양이 많다. 공유수면을 지속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보전·관리와 환경친화적 매립을 통해 효율적으로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 상황은 해수관의 사용료는 받아가면서 정작 원상회복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 사용료를 받으면 그만큼 관리를 해야 하는 것이 관리청이 할 일”이라고 지적했다.
7일 미수동 횟집거리 폐해수관 실태조사
도로확장으로 횟집 철거…해수관은 방치
경남도 해수인입관 처리 계획, 무용지물
7일 오전에는 미수동 횟집거리에서 취재가 진행됐다. 해당 지역은 도로확장으로 인해 인근 횟집거리가 철거됐음에도 불구하고 폐해수관은 여전히 정리되지 않은 상태였다.
경남상남도는 통영항 봉평동 공유수면 내 해수인입관이 무분별하게 방치돼 도시 미관을 해치고,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자 지난 3월 ‘해수인입관 제거공고’를 게시했다. 사업비 5천만원 이내에서 처리 업체를 선정하고, 공고 후 1개월 이내 처리하겠다는 계획과 달리, 아직도 여전히 폐해수관은 버젓이 자리를 차지하며 도시 미관을 해치고 있었다. 특히 폐해수관과 더불어 각종 생활 쓰레기마저 방치되면서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더했다.
이날도 잠수사가 수중촬영에 돌입해 바닷속 폐해수관 실태를 파악했다. 특히 이곳은 바지락 종패 살포지이지만, 바닷속에 방치된 폐해수관으로 인해 죽어있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페해수관은 오랫동안 방치돼 색이 변하고, 부착생물이 붙어있거나 서로 얽히고설켜 있었으며, 많은 폐해수관들이 땅속에 매설돼 있었다.
(사)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권유진 생태팀장은 “환경연에서 통영항 봉평동 횟집단지가 철거되면서 방치된 폐해수인입관을 처리할 수 없냐는 의문을 여러 번 제기했다. 경남도의 ‘통영항 봉평동 공유수면 내 해수인입관 등 처리 계획’에 따르면 지난 3월 해수인입관 제거공고를 하고, 4월 20일부터 처리하고자 한다고 돼 있다. 하지만 현재 폐해수관 촬영 시점인 8월에도 여전히 폐해수관이 방치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남도에서는 해수인입관의 판별이 어렵다는 주장을 꾸준히 해왔다. 하지만 오늘 현장에서 육안으로 보기에도 방치돼있는 호수관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미 사용하지 않는 해수관이 잘린 채로 바다에 떠 있음에도, 철거하지 못한다는 점이 아이러니하다. 소유자를 찾지 못하면 강제철거를 하겠다고 했음에도 폐호수는 그대로 방치된 상태다. 경남도에서는 심각성을 인식하고, 완벽한 수거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강송은·박초여름 기자
편집=배선희 기자
영상=조동하 인턴기자
후원=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