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폐해수관, 실태조사 용역비 확보 우선”

  • 관리자
  • 2024-10-07
  • Hit : 101

 

지난 23일 한산신문 2024 지역공동체활성화 프로젝트 간담회
바닷속 해수인입관 실태조사 및 불법투기 근절 해결방안 모색
신고제 및 통영시-경남도 공동 수거, 예산 확보 우선 등 논의

■2024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위원회 우선지원대상 한산신문 공모사업 ‘한산신문 지역공동체활성화프로젝트’-4

한산신문은 지난 23일 통영시 폐해수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024 지역공동체활성화 프로젝트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통영시 해수인입관 문제와 해양환경오염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통영시 바닷속에 버려진 폐해수인입관 해결방안과 관련, 통영시에서 자체 용역비를 확보해 실태조사를 시행하는 것이 첫걸음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이를 위해 통영시의회와 통영시, 경상남도 등이 협업해 내년 예산 마련에 부심, 폐해수관 수거가 완벽히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한산신문은 지난 23일 통영시 폐해수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2024 지역공동체활성화 프로젝트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는 통영시 해수인입관 문제와 해양환경오염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 자리에는 한산신문 취재진을 비롯 (사)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이사장‧권유진 생태팀장‧박정용 활동가, 통영시의회 노성진‧김미옥‧박상준‧최미선 의원, 경상남도 항만관리사업소 김수진 통영 담당 계장‧이상주 주무관, 통영시 해양산업과 김광수 해양정책팀장‧안익재 주무관, 통영시 상하수도과 하현국 주무관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간담회를 통해 한산신문이 문화체육관광부 지역신문발전위원회 공모사업으로 취재한 통영시 전역에 방치된 폐해수관 문제의 심각성을 살펴보고, 행정적인 방안을 논의했다.

바닷속에 버려진 폐해수관이 통영 바다와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이 지적됐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대책과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이 강조됐다. 참석자들은 폐해수관 관리의 미흡한 점을 짚으며, 해수관 수거 작업과 더불어 장기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통영거제환경운동연합 신종호 이사장은 “해수관 방치는 해양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경남도에서 통영항 봉평동 공유수면 내 수거 작업을 했으나 육안으로 보이는 부분만 철거가 이뤄졌고, 실제로는 상당 부분이 그대로 남아있다. 현재의 해수관 방치는 계속되는 악순환을 초래하고 있으며,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행정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상남도 항만관리사업소 이상주 주무관은 “지난 5월 자체사업으로 동호동과 봉평동 일원에 폐해수인입관 철거작업을 진행해 10톤 넘는 해수인입관을 수거했다. 사실 사용하고 있는 해수인입관과 사용하지 않는 해수인입관의 구별이 쉽지 않고, 이에 대한 민원이 있다. 주어진 예산 안에서 수거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했다. 앞으로 폐해수인입관 등에 대한 유관기관 협조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경남도, 항만관리사업소, 통영시, 해양환경공단과 협의하고, 해수인입관 신규설치와 유지보수 사업장 현장 지도 강화 및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면제인 100mm 이하 해수인입관 관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참석자들은 폐해수관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제도적 보완 방안을 제시했다. 신 이사장은 “공유수면 점‧사용 면제 대상인 해수인입관도 신고제를 통해 관리해야 한다. 신고라도 하면 어느 지점에서 어느 업체가 사용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사용 후 반드시 원상 복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지자체 내에서 조례를 만들든지 하는 제도가 마련되지 않으면, 폐해수관은 지속적으로 방치될 수밖에 없다. 특히 행정에서의 관리‧감독이 절실하다”고 의견을 밝혔다.

노성진 시의원은 “폐해수관뿐만 아니라 바닷속에 침적된 해양쓰레기들이 많다. 전체적인 수거가 이뤄져야 한다. 이번 한산신문 보도를 통해 폐해수관 실태를 알게 됐다. 통영시 예산으로 폐해수관을 수거하기에는 어려울 것 같고, 시에서는 해수부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관련 사업이 있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미옥 시의원은 “통영은 관광으로 먹고사는 도시인데, 바닷속 환경이 엉망인 상태로 방치되면 관광 산업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번 간담회를 계기로 실태조사와 철저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고, 폐해수관 문제가 해결될 때까지 이 자리에 있는 관계기관이 유기적으로 힘을 합쳐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상준 시의원은 “가장 큰 문제는 환경오염뿐만 아니라 바다생물의 전멸이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해양 저서생물들이 생존하지 못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기에 폐해수관의 완전한 수거가 필요하고 해결책을 모색해야 한다. 의회에서도 5분 자유발언 등으로 이 문제를 공론화하고 내년 예산에 반영될 수 있도록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미선 시의원은 “동호항의 경우 민원을 받고 방문했더니 테트라포드에 해수관이 엉켜있었다. 해양쓰레기 담당자가 이를 처리했다고 하나 테트라포드에서 해수관을 수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는 답변을 받았다. 의회도 공감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통영시 해양산언과 해양정책팀 김광수 팀장은 “사용하지 않는 해수관은 해양쓰레기로 처리해 청소작업을 하고 있지만, 환경단체나 언론의 입장에서는 여전히 미흡한 점이 있다고 본다. 해수인입관 100mm 이상의 경우, 수면으로 들어가는 파이프 끝부분에 홈을 내고 아크릴판을 설치해 해수관 사용업체명을 표시하는 방안을 도입할 수 있다. 점‧사용 허가를 받지 않는 100mm 이하의 해수관도 차례대로 해결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허도명 대표이사는 “경상남도와 함께 통영시에서도 해수관 문제 해결에 나서줘야 한다. 폐해수관 문제를 단순히 환경오염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통영시의 미래 먹거리와 관광 자원 보호를 위한 중요한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 여러 관계기관에 계신 분들의 적극적인 해결책 제시를 통해 통영의 바다가 온전히 자연의 상태로 돌아올 수 있길 바라며, 폐해수관이 수거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행정의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사업은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92290_368517_640.jpg


출처 : 한산신문(http://www.hansannews.com)